MBC 코미디 황금기였고 개그맨들의 자존심 [옛날 예능]’테마게임’ 1990년대

1990년대만 해도 KBS MBC SBS 등 방송 3사에 코미디 개그 프로그램은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던 예능 중 하나였다. 평일과 주말에 걸쳐 두 개 정도의 개그 프로그램 편성은 기본처럼 받아들여졌고 각 회사마다 매년 열리던 공채 개그맨 선발대회는 엄청난 경쟁률로 치러지면서 차세대 스타 발굴의 장이 됐다. 지금은 아득한 옛날 일이 되어버렸지만 그 무렵 MBC 코미디는 부럽지 않은 인기를 누렸던 존재였다. 특히 ‘오늘은 좋은 날'(1992~1999)과 ‘테마게임'(1995~1999)은 당시 코미디 황금기를 상장시킨 추억의 프로그램이었다.

매주 토요일 저녁에 방송된 「테마 게임」은, 김국진, 서경석, 김진수, 홍기흥, 김효진등을 주역으로 한 코메디 영화였다. 그때까지만 해도 코미디 프로그램이라고 하면 스튜디오에 세트를 설치해 촬영하는 10분 이내의 코너를 모아 한 시간 정도 채우는 게 일반적인 형태였다. KBS 쇼! 비디오 자키(19881991)처럼 고교생을 단체 관람 형식으로 모은 대형 공개 코미디도 없지 않았지만 웃음으로 코미디 세상만사(이상 KBS) 코미디 전망대 웃음으로 삽시다(이상 SBS) 등 1990년대 코미디 프로그램의 상당수는 비슷한 구성으로 시청자를 찾곤 했다.

드라마 형식으로 차별화●삶의 애환 녹여 큰 사랑 받아

그런데 <테마게임>은 기존의 코미디 개그 프로그램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매주 2편 드라마 형식의 새로운 스토리가 방송된 것이다. 개그코너와 단편드라마 사이에서 진행된 <테마게임>은 하나의 주제에 따라 다르게 접근하여 삶의 지혜와 희로애락을 쉽게 표현하였다. 이때 방송된 소재는 코미디로서는 상당히 심도 있는 내용을 다루면서 코미디 프로그램=아이들만 보는 방송이라는 선입견도 타파한다.

첫사랑 또는 노년의 사랑을 다룬 로맨스 소재로부터 신분 상승을 노린 악마와의 거래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성공을 얻었지만 더 큰 욕심을 내 파멸한다는 이야기를 다룬 에피소드 등은 20여 년이 지난 지금 기준으로도 꽤 흥미로운 이야기였다. 때로는 SF, 공포물, 성전환 등의 소재도 과감하게 소개될 정도로 드라마 이상의 파격적인 접근이 이루어져 <테마게임>은 오랜 기간 토요일 시간의 강자로 자리매김한다. PC통신 세대로 불리던 20대 젊은 시청자들의 지지 속에 코미디 프로그램으로는 이례적으로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이 선정한 시청자가 뽑은 좋은 프로그램(1998년)에도 이름을 올리는 등 작품성도 인정받았다.

김국진 등 코미디언들의 탁월한 연기 ● 꿈나무 등용문 역할도

<테마게임>의 주인공 자리는 그 시대를 대표하는 인기 개그맨들의 차지였다. KBS 출신 김국진을 중심으로 MBC 공채였던 서경석 김진수 김효진 등은 매주 각 에피소드의 주연을 맡으며 배일집 등 고참 개그맨들과 좋은 호흡 속에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아무리 짧다고 해도 <테마게임>처럼 정극에 가까운 내용은 결코 쉽게 소화하기 어려운 것이었지만, 기존 배우들과 비교해도 결코 손색없을 정도로 훌륭하게 소화해냈다. 특히 김국진은 진지함과 뻔뻔함을 오가는 캐릭터를 자신의 것으로 표현해 1990년대 후반 연예계 최고의 스타 반열에 올랐다.

이 무렵 <테마게임>은 연예계 젊은 유망주들의 등용문으로도 각광받았다. 차인표처럼 이미 인기스타가 된 인물뿐 아니라 최지우 이정현 김선아 이요원 등 갓 배우로 성장한 이들이 주연 또는 상대역으로 출연해 시청자들의 눈길을 끌었다. 뿐만 아니라 박진영, 김윤아(자우림), 장호일(O15B), 스티브 유(유승준) 등 가수들도 부담 없이 연기 도전에 나설 정도로 <테마게임>은 당시 누구나 출연하기를 원했던 예능 프로그램이었다.

소재 고갈, 반복되는 이야기 답습 속에서 1999년 종영

그러나 빛이 있으면 그림자도 있다. 김영현(육룡이 나르샤), 박혜련(당신이 잠든 사이) 등 후에 유명 드라마 작가들을 배출할 만큼 탁월한 스토리를 매주 만들어낸 <테마게임>이었지만, 지금 기준으로 보면 표절, 표절 시비에서 결코 자유롭지 못했다는 약점도 드러냈다. 마지막 잎새 파우스트 같은 고전작품 오마주를 넘어 환상특급(미국), 기묘한 이야기(일본) 등 해외 TV 시리즈의 내용을 그대로 차용한 방영분도 등장하기 때문에 이는 훗날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이는 저작권 개념이 희박했던 당시 방송계 상황에서도 기인한다.

여기에 국한된 제작진만으로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테마게임>은 어느덧 한계에 부닥치게 된다. 소재는 고갈돼 매너리즘으로 지적될 만큼 큰 변화가 없는 구성을 시청자들은 조금씩 외면하기 시작하고, 특히 프로그램의 주역인 김국진이 1999년 하차해 큰 타격을 받는다.

인기 사극 용의 눈물(1996~1998)과의 경쟁에서도 결코 뒤지지 않았지만 정작 자신과의 싸움에는 이기지 못한 채 1999년 11월의 테마 게임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말았다. 비록 4년여의 방송기간이 짧지도 길지도 않았지만 <테마게임>은 기존의 코미디 혹은 드라마와는 차별화된 자신만의 것을 만들어 유행을 이끈 프로그램으로 기억될 만하다. 개그맨들이 방송이 흐름을 주도한 황금시대의 끝에는 이렇게 <테마게임>이 있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