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역류성 식도질환(GERD): 산성을 띠는 위내 물질이 식도나 구강으로 역류하는 것.내시경 검사상 밀란성 궤양 등 점막장애를 보이는 역류성 식도염과 검사 소견을 보이지 않는 비밀란성 위식도역류증(NERD)으로 나뉜다.실제 증상은 없지만 정기검진에서 내시경 소견상 진단된 역류성 식도염도 있다.
- – 비밀란성 위식도역류증(NERD): 역류성 식도염에 비해 ① 젊은 사람에게 호발 ② 여성이 많다 ③ 마른 사람에게 많은 경향 ④ 식도열공 탈출을 동반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경증인 GERD보다 산 등에 대한 식도의 과민성이 항진되어 있는 병태일 것으로 추측
- – 악화요인 : 복부비만, 임신, 위산과다, 위반출연, 식도연동운동장애, 폭식
- – 증상 전형적 증상 속쓰림, 시큼해진다.(식후 야간, 체간부 전굴시 발생) 비전형적 증상 흉통, 만성기침, 천명, 인후부위 위화감, 귀통증, 인후방학 등 * 흉통(비심인성 흉통): 협심증과 유사한 통증. 운동량이 증가하고 흉통이 심해지면 협심증이 의심되지만 몸을 앞으로 움츠린 채 격렬한 운동을 하면 위식도 역류가 조장돼 흉통이 발생하기도 한다.누운 자세로 증상이 있으면 위식도 역류에 의한 흉통일 가능성이 높지만 전적은 아니다.* 아무리 치료해도 낫지 않는 기침 > 역류성 식도질환 의심 : 대개 위식도 역류에 의한 기침은 주로 낮 자세에서 발생. 일부 환자에게서는 밤에 발생해 마른 기침이나 다량의 점액질 가래가 동반된 기침 모두 나타나기도 한다. 또 발성 중이거나 식사 중 발생하는 기침이나 침대에서 일어날 때 하는 기침도 관련이 있다.
- – 전형적인 역류 증상인 흉부 작열감과 위산 역류를 호소하는 사람은 위식도 역류질환을 의심해야 한다.-내시경 검사를 통해 식도염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약 50%의 위식도역류질환 환자에서 내시경 검사 소견이 정상임을 주의해야 한다. 이 경우 NERD에 해당
- – 내시경 의뢰가 필요한 경우 1. 경고증상이 있는 경우: 연하장애, 구토, 체중감소, 출혈, 복부종양, 빈혈의 2. 비전형적인 증상으로 인해 증상만으로 진단이 어려운 경우 3. PPI 치료에 크게 반응하지 않는 경우 4. 수술 전 정확한 평가가 필요한 경우 5. 환자나 의료인에게 확신이 필요한 경우 5.
- – 응급실 후송 : 출혈이 의심되는 배변, 토혈동반, 철결핍성 빈혈동반, 설명할 수 없는 체중감소동반, 기도폐색확인, 조기포만감동반, 연하통증동반,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지속적인 쉰 목소리 또는 만성기침동반
- – GERDLAClassification(내시경 소견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LA분류) **식도위접합부(EGJ;Esophagogasric junction)의 병변 넓이에 따라 중증도 분류 본 분류는 내시경적 검사에 의한 분류이며 임상증상의 중증도와 검사결과상 중증도의 상관관계는 없다.

Grade N 내시경 정상의 점막 Grade B의 점막손상 소견이 점막으로만 한정되지만 지름이 5mm 이상이고 손상부위가 연속적이지 않다는 점막손상 소견(명백한 난란, 궤양은 보이지 않지만 발적 등의 색조변화를 보일 경우 Grade C의 점막손상 소견이 여러 점막에 걸쳐 있어 유합되고 있으나 전주성은 없을 경우 Grade A의 점막손상 소견이 점막에만 한정되며 지름이 5mm를 넘지 않는 점막장애가 있는 경우
- 생활지도 1. 취침 3시간 전 식사금지, 체중감량, 금연 등 2. 과식을 피하고 식후 3~4시간 자지 않는다. 침대 상체 부위를 10-20cm 정도 올리고 잔다.3. 허리 조이는 옷은 피한다.4. 식이섬유를 섭취한다.5. 과도한 운동은 오히려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피한다.6. 하부식도의, 괄약근(LES; Lower Esophageal Sphincter)압을 저하시키는 약제(칼슘채널차단제, 아초산나, 지방식, 술, 커피, 초콜릿이나 양파, 마늘, 소금, 후추, 페포민두, 스페어민트, 박하, 산성이 강한 음식[귤, 토마토] 등)을 변경하거나 중지
- -약물 요법:위산 분비 억제제(PPI, H2수용체 차단제[H2RA]), 소화관 운동 촉진제, 제산제, 점막 보호제 등 PPIOmeprazole(오엠피)Esomeprazole(넥시움)Lansoprazole(런 스톤)Dexlansoprazole(테크실이란 토)Pantoprazole(팬트 록)Rabeprazole(파리에토우)Ilaprazole(노르 테크)Revaprazole(레파넥스)부작용:폐렴, 소장 세균 증식, 영양 결핍(Vitamin B12, iron, Ca), 골다공증, 약물의 흡수 장애(clopidogrel)H₂ 수용체 차단제 Cimetidine(에츄이토우)Ranitidine(쿠바란)Famotidine(카스모티은)미란성 질환이 없을 때, PPI의 치료로 증세이 호 쵸은도에은 후 유지 요법도 해PPI에 병용 부작용: 고용량 장기 투여시의 여성형 유방, 발기 부전 제산제 Alginic acid(라미나, 금액)Almagate(알마 겔)Al(암포지에루)가장 빨리 효과가 있는 것, 경증으로 단기간 효과의 부작용:변비 또는 설사, 고칼슘 혈증 고 인산 혈증, 대사성 알칼리증, 신부전의 위장관 운동 촉진제 Domperidone(모ー티리움엠)Itopride(가나톤)Mosapride(카스모티은)domperidone부작용:고프로 라크 틴 혈증에 의한 유발아프 통과 유즙 분비 유발 하부 식도 괄약근 작용제(GABA-B길항 약)Baclofen(파 클론)하부 식도 괄약근(LES)의 이완을 억제시키는 것에 항우울제, 항불안제 Amytriptyline(알루엣과빌)H.pylori 제균요법 Clarithromycin(쿨라리스천), Amoxicillin(아목시실린), Metronidazole(플라시닐천)-역류성 식도염에 대한 표준치료로 PPI가 권장되고 있으나 칼슘 흡수를 방해하고 골반골절 위험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PPI를 장기간 복용할 경우 혈관기능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 일반 건강한 사람들도 심근경색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데이터마이닝의 신부전 환자의 급성질환자**어르신들은 PPI요법보다는 한방치료를 통한 역류성 식도질환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한방치료시에는 침치료와 한약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좋다. 침-한약을 병행하는 것이 서양의학적 치료보다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도 있다.
- – 침치료 기봉휴 : 양측족삼리, 양릉천, 공손, 기관
- – 한약치료 간 방하사심탕, 보화환, 준미이 마음껏, 수점산허육군자탕, 안준산, 복룡음, 향사양의탕, 이준탄, 비화음*육군자탕 일본소파키병학회에서는 PPI저항성 NERD의 경우 PPI와 함께 육군자탕 병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또한 PPI 저항성 NERD에 대한 연구였던 G-PRIDE 연구 연구에 따르면 육군자탕은 삼광룡 이상 은동준상(acid-related dysmotility symptoms(ARD))을 가진 노인에게 좋은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출처 : KCD 한방임상을 위한 한방내과 진찰진단치료 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