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퍼런스 recipes4dev.tistory.com/175
Linuxchmod 명령어 사용법. (Linuxchmodcommand) – Linux 파일 권한 변경. 1. Linux 파일 사용 권한 Linux에서 파일(File)을 사용하여 할 수 있는 작업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파일에 저장된 데이터를 가져온다.(r = read) 파일에 데이터를 쓴다.(w = write) 파일실행. (x..recipes4dev.tistory.com )
Linuxchmod 명령어 사용법. (Linuxchmodcommand) – Linux 파일 권한 변경. 1. Linux 파일 사용 권한 Linux에서 파일(File)을 사용하여 할 수 있는 작업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파일에 저장된 데이터를 가져온다.(r = read) 파일에 데이터를 쓴다.(w = write) 파일실행. (x..recipes4dev.tistory.com )
Linuxchmod 명령어 사용법. (Linuxchmodcommand) – Linux 파일 권한 변경. 1. Linux 파일 사용 권한 Linux에서 파일(File)을 사용하여 할 수 있는 작업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파일에 저장된 데이터를 가져온다.(r = read) 파일에 데이터를 쓴다.(w = write) 파일실행. (x..recipes4dev.tistory.com )
1. 기본 양식
chmod[OPTION][MODE][FILE]
2) 사용법
chmodu=rwfile.text
파일.text 소유자(User)에게 읽고 쓰기 권한을 부여한다.
chmoda=rwx file.text//모두에게 읽고/실행할 수 있는 권한 부여 chmodg-wx file.text//그룹(Group)에서 쓰고/실행할 수 있는 권한 삭제 chmodu+w file.text/파일 소유자에게 쓸 권한 부여이렇게 +, -로 첨삭도 할 수 있다. 그런데 +와 -는 이미 설정된 권한을 바탕으로 첨삭을 하기 때문에 이 파일에 원래 어떻게 권한이 부여됐는지를 알아야 하는데 그걸 ls-l로 알 수 있다든가. 사실 8진수로 많이 쓰는… 응? 근데 uga가 뭐예요? 그건 지금 8진수 형식을 설명하면서 알려드릴게요. 8진수 형식은 chmod755와 같이 쓴다. 그런데 저 세 가지는 뭐야? 순서대로 파일 소유자(user), 그룹(group), 기타(other?) 사용자로 보면 된다. 위의 예에 나온 a는 ugo 전체.chmod755file.text이게 무슨 일이야…그 숫자는 차례로 파일 소유자, 그룹, 기타 사용자에 대한 rwx권한이다. rwx는 각각 Read, Write, eXecution에서 읽고 쓰기 수행하는 권한을 나타낸다. 즉 그 명령은 파일 소유자는 rwx를 다 주고 그룹과 다른 유저에게는 읽고 실행하는 권한만 주겠다는 것이다. 뭐?그걸 어떻게 아시나요? 그곳에서 일단 u에 해당하는 7을 두진 수로 바꾸면 111이다. r이 1, w가 1, x가 1이라 111로 8진수로 바꾸면 7이다. 마찬가지로 그룹과 다른 유저의 권한인 5는 r, x는 1이지만, w가 0에서 101,5이다. 그럼 750은? 사용자는 모든 권한을 부여하고 그룹은 읽고 실행하는 권한만 주고 다른 사용자에게는 아무 권한도 주지 않겠다는 이야기. 편하게 기억하고 싶다면 r(read)는 4, w(write)는 2, x(execution)은 1에서 각 권한에 대해서 1은 권한 부여 0은 권한 박탈 및 기억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