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0.31. 달매일경제 매경 e신문
2022.10.31. 달매일경제 매경 e신문
![](http://img.mk.co.kr/company/maeil/logo_mk.gif)
2022.10.31. 달매일경제 매경 e신문
폭 4m 골목에서…처참하게 무너진 안전 Pray For 이태원
![](https://img.mk.co.kr/2020/mkintro/m/og_mkintro.jpg)
원유에 이어 이번에는 금속…중국, 러시아산 재고를 모두 소진하는 서방 제재로 발이 묶인 러시아산 구리 대부분을 중국인들이 대량 구매했다고 블룸버그는 보도했다. 서방은 러시아산 원유 등에 이어 알루미늄 제재도 고려 중. 이에 따라 영국 런던금속거래소(LME)에는 알루미늄 재고가 늘고 있다. 중국이 러시아산으로 추정되는 구리를 대량 매입한 상황으로 볼 때 서방의 러시아산 금속 제재에 별 실효성이 없다는 평가다. 중국의 대량 구매로 금속 부족 사태만 부추겼다는 분석이다. #원재료 궁금한 점 1) 금속재고가 늘어난 이유는? 러시아산이라서? 경기 침체 때문에?2) 중국은 구리를 많이 사서 뭐하지? 되팔 생각이야?3)중국이 구리를 많이 사서 재고가 줄어서 구리값이 올랐나?
출처:서울경제 수세에 몰린 러시아의 식량무기화 다시 꺼내…곡물값이 치솟고 러시아가 곡물수출협정에서 얻는 이익이 미미하니 협정에서 손을 뗐나. 어차피 나는 이익이 없으니 적당히 나가보자!는 놀부심보로? 그래서 러시아가 얻을 수 있는 것은? 러시아는 독자적인 식량 수급이 가능한가. #원자재 급등
우크라 곡물 수출 또 막히나…러 협정 이행 중단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급등한 곡물 가격 안정화를 위해 유엔 중재로 참여한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 협정 이행 중단 선언. 최대 곡물 생산국 중 하나인 우크라이나의 수출길이 막히면 글로벌 곡물 가격이 다시 폭등할 수 있다는 우려. 협정을 맺은 7월 이후 안정을 되찾은 곡물 가격이 러시아가 협정 이행 중단을 선언함에 따라 다시 급등할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미국은 이에 반발해 전 세계로 확산되는 빈곤과 기근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것이라고 비난했다. #원자재 급등
컨테이너선 운임 ‘딱’…▲연말 특수=실종=세계 경기 위축으로 물동량이 줄면서 연말이 다가오고 있지만 특수는 기대하기 어려울 정도다.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19주 연속 하락, 중동 노선을 제외한 나머지 노선이 모두 하락했다. 전 세계 인플레이션과 각국의 잇단 긴축정책, 여기에 신규 컨테이너선 공급 등과 맞물려 운임 하락을 부추기고 있다는 분석. 해운사 실적에도 먹구름이 낄 것으로 보인다. 【수요↓ →공급↓ →운임요금↓ →실적↓】
![](https://img.mk.co.kr/company/maeil/ci_06.jpg)
원자재 채굴 급증에…건설기계 장사가 잘된 건설기계 3사의 호실적은 전기차 2차전지용 원자재 수요 급증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액화천연가스(LNG) 공급이 줄자 대체에너지로 석탄 수요가 늘었기 때문이다. 채굴 수요가 늘면서 대형 건설기계 장비 수요도 덩달아 증가. 유럽·북미에 인프라 구축 등 도시개발 수요가 늘어난 것도 호실적 배경. 아울러 트럼프·바이든 행정부가 지속적으로 인프라 투자를 확대한 것도 호재로 작용. 일부는 「수요 이연」에 의한 것이기도 하다.서울 경제의 김·훈 록 기자가 가시화하는 킹 달러 역풍” 제3분기 미국 기업 순이익 100억달러 사라졌다”킹 달러로 미국 기업은 환 손실로 제3분기에만 100억달러의 손실을 냈다. 이에 대한 경제 전문가 둘 중 한명은 강 달러로 연준이 결국 통화 정책을 수정할 수밖에 없다는 전망. 달러 지수가 8~10% 오를 때마다 S&P500주당 순이익이 1%감소할 것으로 추산. 달러 지수가 올해 들어 17%상승한 점을 감안하면 2%의 수익 감소 요인이 작용한 셈이다. 달러 강세로 미국 제품에 대한 수요 감소 리스크도 크다. 미국 이외의 나라에서 경제 사정이 악화되면서 수요가 둔화되고 있다는. 연준은 다음달 2일 FOMC에서 기준 금리를 발표할 예정이다. 자이언트 스텝을 밟는 확률은 81.3%, 빅 스텝은 18.7%인 반면, 한국 상장 기업은 킹 달러로 외환 평가 손실이 잇따르고 있다. 환 손실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맺은 통화 선도 계약이 이례적인 원화 가치 하락으로 손실이 되어 돌아온다. 손실이 확정되면 기업의 순이익을 감소시키고 나아가서 현금 흐름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중앙대 경영 대학의 정도(정·도 인)교수는 “영업 이익으로 평가 손실 규모가 차지하는 비중이 너무 큰 기업에 대해서는 신중하게 투자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상장기업에 습격당한 킹달러…●외화 평가손실 잇따라미국과 어긋난 빈살만, 다음 달 인도로 가는 [미국-사우디-인도-러시아] 미국과 어긋난 사우디 서방국가들의 러시아 제재에서 벗어나 친러 행보를 보이는 인도, 미국과 대치 중인 사우디가 인도에 손을 내밀고 있는 상황.이런 가운데 시진핑 리스크로 중국을 떠나는 자본이 14억명인 인구를 기반으로 한 탄탄한 내수가 뒷받침되면서 성장률(연 8%)이 어려운 인도 증시로 향했고 연초 이후 안정적인 수익률을 유지 중. 다만 주요국의 지속적인 긴축 움직임으로 세계 경기 침체가 지속되면 신흥국 투자에 악재가 될 수 있어 너무 상승해 역사적 고점에 가까워지고 있다는 점이 우려된다.외국자본 ‘차이나 런’ 본격화…●인도 증시 웃는다평화의기도 #신문읽기특훈_시즌3 #하는것이_힘이다 #경제신문에서_경제공부 #아이패드에서_디지털신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