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계 행성 영어로 태양계 행성 순서

안녕하세요! 해커즈 유학블로그 지기입니다. 🙂

오늘의 포스팅에서 알려드릴 것은 태양계 행성의 순서와 그 행성의 특징과 영어 명칭입니다.

태양계 행성 순서대로 영어로는 어떻게 부르고 또 그런 이름이 붙은 에피소드와 각 행성의 특징까지! 우주에 대해 관심있으신 분들은 흥미롭게 읽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럼 바로 알아볼까요!태양계 행성의 순서를 먼저 태양계 행성의 순서부터 살펴봅시다.

태양계 행성의 순서는 태양계에 있는 유일한 별인 태양에서 시작됩니다! 태양을 중심으로 총 8개의 행성이 공전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수금지화목토천해명’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태양계 행성의 순서를 기억하기 쉽게 줄여서 부른 말이에요!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을 의미합니다.이 중 명왕성의 경우는 2006년부터는 더 이상 태양계 행성 순으로 포함되지 않게 되었습니다!태양계 행성 영어로 & 특징으로는 태양계 행성 순으로 각 행성별 특징과 영어로는 어떻게 부르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첫 태양계 행성의 순서는 바로 수성이에요!수성 영어로는 Mercury(머큐리)입니다!

수성은 태양과 가장 가까운 곳에서 공전하는 행성으로 지구에 비해 자전 속도는 느리지만 공전 속도는 약 88일로 매우 빠르다고 합니다!

수성 영어로 부르는 이름, 머큐리는 고대 로마인들이 발 빠른 신 헤르메스의 로마 이름, 메르쿠리우스를 따서 지어졌다고 합니다!

태양과 가장 가까운 만큼 표면의 온도차도 극단적이어서 지구에서 관측하기 어려운 편에 속하는 행성이랍니다!

두 번째 태양계 행성의 순서는 금성입니다!금성영어로는 Venus(비너스)라고 합니다!

태양과 두 번째로 가까운 행성이며 지구에서도 관측하기 쉬운 행성입니다!보통 ‘샛별’이라고 부르는 별이 사실은 별이 아니라 이 금성이거든요!

하늘에서 가장 밝게 빛나는 별로서 고대 로마 사람들은 아름다움의 신인 베누스(아프로디테)의 이름을 딴 비너스라고 지어주었다고 합니다!

세 번째 태양계 행성의 순서는 지구입니다!지구는 영어로 Earth(어스)라고 합니다!

다른 태양계 행성 대부분이 고대 로마 신화에서 따온 것에 비해 지구는 로마 신화와 관련이 없는 이름을 가지고 있는데요! 예전부터 지구를 일컫는 말이 동서양을 막론하고 땅에 관한 말로 불렸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지구의 핵은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생긴 자기장 덕분에 태양풍을 막을 수 있습니다.다른 행성과 달리 대기에 산소를 가질 수 있는 것도 이 자기장 때문이라고 하더군요!

네 번째 태양계 행성의 순서는 화성입니다!화성 영어로는 Mars(마스)입니다.

화성 영어로 부르는 말인 Mars는 고대 로마의 전쟁의 신 마르스(알레스)를 따서 지어졌다고 합니다! 행성 전체가 붉은 빛을 띠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해요!

화성은 자전주기가 지구와 매우 비슷하고 물자가 발견되기도 하여 앞으로 인류가 이주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행성이기도 합니다!

다섯 번째 태양계 행성의 순서는 목성입니다!목성영어로는 Jupiter(주피터)입니다!

태양계 전체에서 가장 크기가 큰 행성이며 달을 제외하면 금성 다음으로 밝은 행성이어서 지구에서도 자주 관측되었다고 합니다!

고대 로마의 천문학자들은 목성 영어로 부를 말을 정할 때 신들의 왕인 유피테르(제우스)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고 합니다! 사실 목성은 땅 없이 기체만으로 구성된 행성입니다!

여섯 번째 태양계 행성의 순서는 토성입니다!토성은 영어로 Saturn(새턴)이라고 합니다!

목성 다음으로 큰 행성이며 주변을 감싸고 있는 둥근 고리가 특징적인 행성입니다!영문명 Saturn은 로마의 농경의 신사 투르누스(크로노스)에서 따왔다고 합니다!

토성의 고리는 토성이 생성된 후에 남은 물질들이 모여 고리가 되었다고 합니다!확실하지 않은 가설이며, 어떤 천문학자는 위성이 망가진 흔적이라고 주장한다고 합니다!

일곱 번째 태양계 행성의 순서는 천왕성으로 영어로는 Uranus(우라노스)라고 합니다.

푸른 하늘색이 특징적인 행성으로 너무 멀리 위치해 다른 행성과 달리 고대에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이름은 18세기 이후에 지어졌습니다!

이미 다른 행성들이 고대 그리스 신들의 이름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천왕성을 발견한 학자들도 천왕성의 이름을 하늘의 신 우라노스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라고 합니다!

마지막 태양계 행성의 순서는 해왕성입니다!해왕성은 영어로 Neptune(넵튠)이라고 하는데,

천왕성과 마찬가지로 푸른 빛을 발하는 행성이지만 천왕성보다 조금 더 바다 같은 남색에 가깝죠!천왕성처럼 너무 멀어서 18세기 이후에 발견되었고 이름도 늦게 지어졌습니다!

해왕성의 영문명인 Neptune은 바다와 같은 색깔에서 고대 로마 신화의 바다 신넵튜누스(포세이돈)의 이름에서 따왔습니다!이렇게 오늘은 태양계 행성의 순서와 각 행성의 영어 이름, 그리고 특징을 모두 함께 살펴봤습니다.

고대 그리스 신들의 이름을 딴 행성의 영어 이름도 재미있지만 행성 자체가 가진 특징을 알아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아요!

언젠가는 우주여행을 할 수 있는 날이 오지 않을까요! 그럼 오늘 포스팅은 여기서 끝내고 다음에 더 유용한 정보를 찾아오겠습니다! BYE~!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