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모바일) 4K UHD 넷플릭스 화질 설정

넷플릭스 프리미엄 멤버십이라면 인증된 4K 스마트TV로 네트워크 상태만 좋으면 마음대로 UHD 화질을 송출할 테니 그렇게 신경 쓸 필요는 없겠죠? 근데 PC로는 좀 까다로워요. 분명 프리미엄 요금제인데 왜 4K로 재생이 안 되는 걸까. 이번에는 넷플릭스 화질 설정 방법을 정리해봤습니다.넷플릭스 4K UHD 화질 설정, 우선 조건을 알아야겠네요. 일단 프리미엄 요금제와 4K 해상도의 모니터가 필요합니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아직 4K는 콘텐츠가 별로 없었기 때문에 계륵이었지만 지금은 흔하죠? 그리고 게임은 그래픽 카드가 좋지 않아서 4K로 구동시킬 수는 없어도 영상 UHD 콘텐츠는 내장 그래픽으로도 볼 수 있으니까요.

우선 UHD 스트리밍을 지원하는 프리미엄 멤버십에 가입해 있어야 하지만 우선 알아야 할 것은 넷플릭스의 모든 콘텐츠가 UHD가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국내 예능 및 드라마는 FHD(1080P)가 오히려 많지만 혼자 베이직 요금제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파티 매칭으로 프리미엄 프로필을 하나만 사용하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PC 넷플릭스 화질 설정 PC에서 넷플릭스 UHD 화질을 위해서는 4K 해상도 및 60Hz 스펙의 모니터가 필요합니다. 외부 디스플레이의 경우 HDCP 2.2 연결이 필요하며 반드시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 등록된 넷플릭스 앱 또는 에지 브라우저가 필요합니다. 아까 내장 그래픽 카드로도 가능하다고 했는데 인텔 7세대 및 AMD 라이젠 CPU라면 가능합니다.크롬으로는 UHD 재생이 불가능한 이유는 알 수 없지만 크롬으로는 아직 넷플릭스 UHD 재생이 불가능합니다. 공식적으로 넷플릭스 앱과 Microsoft Edge 브라우저에서만 가능하지만 (제가 크롬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개인적으로는 넷플릭스 앱보다는 엣지로 구동시키는 것을 권장합니다. 그리고 MacOS에서는 사파리 브라우저로 가능합니다.

준비가 완료되면 프로필을 누르고 계정을 클릭합니다. 그런 다음 프로필 목록에서 내가 사용할 프로필을 눌러 재생 설정 변경을 클릭합니다.

기본적으로 자동으로 되어 있을 텐데 언제 어떤 핑계로 자도 모르게 화질을 낮춰 송출할지 모르기 때문에 고화질을 선택해 두는 것이 마음도 편하고 확실한 방법이므로 고화질로 저장해 둡니다.HEVC 코덱 필요

그리고 PC에서는 HEVC 코덱이 필요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서 받으면 되는데 1,200원 유료입니다. 무료 버전인 장치 제조사 버전의 HEVC Video Extentions를 따로 찾으려니 오히려 더 번거로웠습니다.

콘텐츠 소개를 보면 4K UHD 화질 표시가 있는 것으로 무엇이든 테스트해 봅니다. 실제로 어느 해상도로 송출되고 있는지는 영상이 흘러나오는 도중에 Ctrl+Alt+Shift+D 단축키를 눌러보면 비트레이트로 현재 해상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영어로 텍스트가 나오는데 모든 것을 알 필요는 없고 비트레이트 부근에서 현재 해상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른 ott들도 마찬가지지만 처음에는 낮게 나왔지만 점점 올라가는 방식입니다. HDR은 제가 꺼놨으니까 이렇게 나오네요.

제 모니터는 윈도 디스플레이 설정에서 HDR 사용을 활성화함으로써 모니터의 Smart Image HDR 옵션을 켤 수 있는데 윈도 PC에서 HDR 옵션을 켜는 것이 귀찮아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되었습니다.모바일 넷플릭스 화질 설정 지금은 4K 해상도 스마트폰이 소니 엑스페리아밖에 없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나중에는 더 많이 나오겠죠? 그런데 아직 작은 화면에서는 고해상도가 의미가 없다는 얘기를 아직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작은 화면에서도 구분될 정도로 많이 나옵니다.

어쨌든 아직 4K 해상도 스마트폰이 많지 않기 때문에 스마트폰에서는 UHD는 어렵더라도 FHD에서도 원활하게 재생할 수 있도록 화질 설정을 해보겠습니다. 어정쩡하게 1440P라면 FHD 해상도로 송출되겠네요. 제 갤럭시z폴드2는 FHD 화질에 HDR은 가능했습니다.

스마트폰에서 넷플릭스 앱을 실행하고 오른쪽 상단 프로필 아이콘을 클릭하여 이렇게 나타나면 앱 설정을 클릭합니다.

PC와 달리 모바일 넷플릭스 앱은 화질 설정이 어디에 있는지 한참 찾았는데 사실 맨 위에 있는 콘텐츠 재생 설정에서 모바일 데이터 이용으로 하는 거였죠. 최대 사용으로 변경합니다. 모바일에서는, 상세하게 화질 설정이 불가능했습니다. 인터넷의 속도는 초당 15메가 비트 이상이면 되기 때문에 LTE 상태도 충분하네요.

하지만 인터넷 접속 상태가 불안정해질 것에 대비한다면 미리 와이파이 상태에서 콘텐츠 저장 영상 화질을 고화질로 변경해 놓고 미리 받아서 로컬로 돌리면 되겠죠? PC 및 모바일 넷플릭스 화질 설정 방법에 대해 정리해 봤는데 도움이 됐나요?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