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리거포인트의 발생 원인으로 꼽는 두 가지 가설 [운동전문가 이원재]

안녕하세요 운동전문가 이원재입니다.트리거 포인트와 관련해서 여러 가지 이론이 있는데 오늘은 가장 대표적인 가설 두 가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에너지위기가설기능부전종매가설

많은 사람들이 트리거 포인트(trigger point)에 대한 구조적 결함에 대해 근육으로만 한정해서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거의 모든 연부 조직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국소적인 과민성 부위라고도 할 수 있는데 이것이 근육이나 힘줄, 근막 등에 발생하는 경우 근막 유발점(myofascial trigger point)이라고 불립니다.과연 이러한 트리거 포인트의 발생 원인은 무엇일까요?

근섬유의 주행방향은 뼈에 부착되는 2개 이상의 지점을 통해 일정한 방향으로 주행하는데, 모든 근섬유가 적절한 길이와 장력을 유지하고 있어야 하는 것이 정상적인 상태입니다.그런데 위 사진처럼 압축된 섬유의 모습이 보이는데 이렇게 짧아진 지점의 인접 부분은 상대적으로 길이가 늘어나 장력이 증가합니다.이렇게 연결된 것처럼 관찰되는 조직이 많을수록 인접 부위에서 더 신장되고 장력이 증가한 구조적 상태는 심각해집니다.트리거 포인트의 발생 원인은 조금 더 복잡합니다.1. 에너지 위기 가설근절 내 수축 단백질에 대해 먼저 설명할 필요가 있습니다.근절 내에서 수축 단백질이 수축된 후 이 두 개의 교차 결합이 끊어지고 이 과정에서 칼슘 이온이 재흡수됩니다.하지만 이때 원래대로 칼슘이 재흡수되지 않으면 수축 단백질 사이의 결합 부위가 지속적으로 노출됩니다.그렇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수축 단백질 간의 교차 결합이 끊어지지 않고 근육이 지속적으로 수축하게 되며, 이러한 장시간의 고정은 혈액 순환 장애를 일으킵니다.여러 요인을 공급받지 못하는 것을 넘어 조직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이 배출되지 않고 축적되면서 통증까지 유발되는 것입니다. 2. 기능부전종판 가설운동종판은 운동신경의 말단 부위로 이 가설에 따르면 운동신경에서 트리거 포인트가 발생한다고 보고 있습니다.신경계가 근육을 자극해서 반응을 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아세틸콜린 같은 신경전달물질이 시냅스 사이에 분비가 됩니다.이는 다음 뉴런에서 활동전위를 일으키도록 하는데 과도한 신경전달물질이 장시간 분비될 경우 활동전위는 높은 상태로 지속되고 이러한 상태는 근육을 계속 수축시키기 때문에 근섬유 내에서 특정 근절이 압축되면서 트리거 포인트가 형성됩니다.운동종판은 운동신경의 말단 부위로 이 가설에 따르면 운동신경에서 트리거 포인트가 발생한다고 보고 있습니다.신경계가 근육을 자극해서 반응을 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아세틸콜린 같은 신경전달물질이 시냅스 사이에 분비가 됩니다.이는 다음 뉴런에서 활동전위를 일으키도록 하는데 과도한 신경전달물질이 장시간 분비될 경우 활동전위는 높은 상태로 지속되고 이러한 상태는 근육을 계속 수축시키기 때문에 근섬유 내에서 특정 근절이 압축되면서 트리거 포인트가 형성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