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가 전하는 미스터리 우주의 물체 옴므아(Oumuamua), 명왕성을 닮은 천체 조각 같다!
2017년 10월 처음 관측된 태양계 외계에서 온 의문의 성간 물체 옴암아가 명왕성과 비슷한 천체의 잔해일 가능성이 있다고 CNN이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사진 출처 : 위키피아 캡 차옴 아암아는 또한 혜성이나 소행성이 아니며 그 모양도 당초 생각했던 것처럼 긴 시가 아니라 납작한 쿠키 모양일 수 있다.
사진 출처 : 위키피아 캡처의 애리조나 주립대 천문학자인 앨런 잭슨 교수와 스티븐 대시 교수는 논문을 통해 이 비정상적인 45m 물체가 명왕성이나 해왕성의 최대 위성인 트리톤의 표면처럼 냉동질소 성분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얼음 질소로 덮인 이 별 사이의 물체가 5억 년 전 충돌에 의해 그것이 원래 속해 있던 외부 태양계에서 떨어진 조각이라고 설명했다. 우리 태양계의 태양은 물론, 다른 아무것도 공전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또 붉은 빛을 띤 잔재는 이 물체의 본래 색깔이며 우주방사와 최근에는 태양 때문에 외부층이 증발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옴암아는 이를 처음 발견한 하와이의 마우나케나 천문대를 기념하기 위해 붙여진 하와이어로 먼 곳에서 온 메신저라는 뜻이다.
소행성처럼 생겼지만 혜성처럼 질주했고, 그러면서도 혜성과 꼬리를 갖고 있지 않았다.
이 때문에 과학계에서는 혜성이냐 소행성이냐를 놓고 설전을 벌여 외계인이 만들어 냈을 가능성도 있다는 제안도 나오고 있다.
잭슨 교수와 데시 교수는 이 물체가 점차 침식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해 질소 얼음덩어리라는 모델을 고안했다.
이들 논문은 미국 지구물리학연합(AGU)에서 출간됐으며 올해 화상으로 실시된 달과 행성 과학 컨퍼런스에서 발표됐다.
“그러나 모든 과학자들이 이 설명을 받아들이는 것은 아니다.” 아비 로에브 하버드대 교수는 “이 물체가 인공적으로 보인다”며 “외계 문명에서 온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옴암아는 혜성이나 소행성과 달리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것”이라며 “인공적 기원설의 여지를 남겨놓고 같은 부류의 물체에 대한 더 많은 증거를 수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옴암아가 지구에 가장 가까이 다가갔을 때 그 면적은 두께의 여섯 배나 되는 것으로 보였다. 이는 대체적으로 쿠키 모양이었다.
현재 이 물체는 천왕성 궤도를 넘어 32억㎞ 이상 떨어져 있어 허블우주망원경으로도 볼 수 없을 만큼 너무 작다.
잭슨 교수는 이런 이유로 옴암아 연구는 최초 발견 당시의 관측에 의존해야 하며 분석이 계속 갖춰질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