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계 사이즈 비교 미리보기 2021년 태양계 각

2020년도 태양계 행성에서 목성·토성 그리고 화성에 대해 오랜 시간 촬영을 하고 안시등급, 직경에 대해서도 계산해 보았습니다.이를 해석하는 데는 우태파님의 적지 않은 도움이 있었습니다.

2021년에는 태양계의 각 행성들이 언제 어떻게 커지고 작아지는지를 알아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아서 천문잡지를 잘 읽어보면 거기에 나와 있으니 소개해 보겠습니다.

출처는 <별하늘연감 아스트로GUIDE 2021>입니다.

<수성>

2021년 수성 월별 크기 변화

<금성>

2021년 금성 월별 크기 변화

<화성>

2021년 화성 달별 크기 변화

<목성>

2021년 목성 월별 크기 변화

<토성>

2021년 토성 월별 크기 변화

<천왕성>

2021년 천왕성 월별 사이즈 변화

<해왕성>

2021년 천왕성 월별 사이즈 변화

행성의 크기가 커지거나 작아지는 것은 지구와 각 행성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기 때문인데 바로 어제 화성이 급격히 밝아지거나 급격히 어두워지는 제 질문에 우태파 씨가 구체적으로 답변해주신 내용이 있어 그대로 옮깁니다.제 질문 내용이 들어있는 리뷰 글입니다.

https://m.blog.naver.com/gorden747roh/222199507395

============================= 위의 저의 질문이 있는 글에 대해서 이하 우태파님의 블로그 화면 캡처와 답변 내용입니다.

우태파님의 블로그에 관한 리뷰글 http://blog.naver.com/mozmov/222088270509

흐흐흐, 저한테 미션을 주시는군요. 이문제는그림을그리면서설명을해줘야하는데적당히문장으로채워보도록하겠습니다.^^ 화성이 충에서 목성만큼 크고 밝아 보이는 이유는 목성에 비해 훨씬 작지만 지구에 그만큼 가깝기 때문입니다.지구와 태양의 거리는 1AU, 화성과 태양의 거리는 1.52AU입니다. 따라서 충의 위치에서는 지구와 화성이 0.52AU에 근접하지만 태양의 반대편인 합의 위치에서는 지구와 태양 간의 거리 1AU에 화성과 태양의 거리 1.52AU를 더하게 되므로 2.52AU가 나옵니다.벌레와 비교하면 거리 차이가 거의 5배입니다.

대신 목성과 태양의 거리는 5.20AU이므로 지구와 목성이 가장 가까운 충일 경우 4.20AU인데 맞으면 1AU+5.20AU이므로 6.20AU가 됩니다. 거리 차이가 1.5배나 안 나네요.토성의 경우는 편차가 더 작습니다. 토성과 태양의 거리가 9.54AU이므로 가까울 때는 8.54AU, 멀 때는 10.54AU와 큰 차이가 없습니다.따라서 화성의 모서리 직경은 3.5~25.1의 변화를 보이며 목성은 29.8~50.1, 토성은 14.5~20.1의 모서리 직경을 가집니다.때문에 화성은 급격히 밝아지거나 급격히 어두워지지만 목성이나 토성은 밝기 변화가 적습니다.천왕성이나 해왕성은 거의 변화가 없을 정도입니다.모서리 지름이 크면 대체로 커 보이지만 반사율도 중요합니다.화성의 반사율은 0.170으로 다른 행성에 비해 낮은 편입니다.목성과 토성은 0.538과 0.499입니다. 가장 반사율이 높은 행성은 금성으로 0.689인데 지구가 금성보다 크지만 지구와 금성을 같은 위치에 놓고 보면 금성이 더 밝습니다.==============================

이상 리뷰를 마치겠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