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의 역사와 과학적 사실에 근거하여 소개 EBS의 주요 행성과 행성을

EBS SPACE FM:태양계 스타들을 만나다는 태양계의 주요 행성과 행성을 천문학의 역사와 과학적 사실에 기초해 소개하는 시리즈로 해 달을 비롯해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까지 총 10개의 항성 또는 행성을 주인공으로 각각 1분 45초에 해당하는 10개의 항성 시리즈다.

제작진은 태양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부터 미 항공우주국(NASA)을 비롯해 공신력이 검증된 국내외 천문학 관련 미디어를 엄선했다. 별마다 캐릭터를 설정하는 데도 천문학적 고증을 거쳐 이를 토대로 작성한 대본을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윤성철 교수로부터 여러 차례 정식 감수를 받은 끝에 완성했다. 해, 달, 수성, 금성, 지구,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이 주인공이 돼 1분 45초 동안 청취자들과 만나는 10개의 에피소드는 이렇게 만들어졌다.

제작진은 태양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부터 미 항공우주국(NASA)을 비롯해 공신력이 검증된 국내외 천문학 관련 미디어를 엄선했다. 별마다 캐릭터를 설정하는 데도 천문학적 고증을 거쳐 이를 토대로 작성한 대본을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윤성철 교수로부터 여러 차례 정식 감수를 받은 끝에 완성했다. 해, 달, 수성, 금성, 지구,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이 주인공이 돼 1분 45초 동안 청취자들과 만나는 10개의 에피소드는 이렇게 만들어졌다.

EBS SPACE FM 방송 내용은 다음과 같다.

태양:자기 이름으로 불리는 천체를 지배하는 우주제왕 태양이 스스로를 소개한다. 모든 면에서 위대하고 최고라고 자부하면서도 동시에 필멸의 운명이란 한계를 인정하는 태양. 그런 태양은 고대 그리스 비극에서 흔히 만나는 ‘자존감이 높지만 고통받는 영웅’을 닮았다. 김재원의 품격 있고 묵직한 연기가 눈길을 끈다.

달:지구 유일의 자연위성인 달은 지구인이 가장 사랑하는 응시의 대상이다. 그 시험의 양상은 고대로부터 현대까지 다른 의미로 갱신되어 왔다. 국운을 점쳤던 고대인, 냉전시대 동서 진영의 쟁탈 대상, 이제 최초의 여성 우주인의 예정된 방문까지 시대와 세대에 따라 의미가 다른 헌사를 받아 온 달의 변천사를 이야기한다.

수성: 수성에 사는 한 생명체가 지구인에게 보내는 편지. 수성은 태양의 사랑을 가장 많이 받으면서도 그 하늘은 항상 까맣고 별조차 반짝반짝 빛나지 않는다. 그 이유를 천문학으로 시적으로 전하자.

지구:지금으로부터 100년 후를 살 미래의 지구인들이 지금의 지구인들에게 감사의 메시지를 보내왔다. 병든 지구를 뒤늦게나마 살려 줘서 고맙단다. SF 장르 속에서 시간여행물의 설정을 빌려 지금 병든 지구를 살고 있는 인류의 반성과 경각심을 촉구한다.

금성: 금성은 예쁘다 별로 미의 여신(Venus)이 아니다. 하지만 아름다움에는 독이 있다. 금성을 둘러싼 오렌지색 베일처럼 아름다운 구름은 사실 유독한 황산가스다. 지구는 ‘쌍둥이 별’인 금성으로 가려 했지만 번번이 실패하고 절망했다. 그런데 최근 이 유독가스 구름 속에서 생명체의 흔적이 발견됐다니, 역시 금성을 미워하려 해도 미워할 수 없다.

화성: 화성은 SF문학과 영화가 가장 사랑해 마지않는 소재다. 상대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를 하고 싶었다. 화성으로 가는 도중 길을 잃을 뻔한 우주인의 실시간 무선전신 메시지를 극화했다. 흔한 말로 허당을 연기하는 김재원은 태양과는 전혀 다른 캐릭터를 연기한다.

목성:1610년 1월 자신이 만든 망원경으로 목성의 위성을 처음 발견한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일기. 당시는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고 천체는 모두 지구를 중심으로 돈다고 믿었던 천동설의 시대였다. 그런데 갈릴레이가 관측한 목성의 위성은 지구를 중심으로 돌지 않고 목성을 중심으로 돌고 있었다. 갈릴레이는 혼란스럽다. 그러나 그의 발견, 그의 혼란은 이후 천동설을 뒤집고 지동설의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는 위대한 첫걸음이 되었다. 김재원은 태양과는 또 다른 중후함을 보여준다.

토성: 매년 태양계에서는 행성 인기투표가 실시된다. 올해도 부동의 1위를 차지한 토성을 인터뷰했다. 실제로 행성 중에서 지구인이 가장 사랑한다는 토성. 그 인기의 비결은 토성을 둘러싼 아름다운 고리에 있다. 막상 고리의 성분을 알면 토성의 신비주의가 사라지는데 그것이 과학이다. 여기서 김재원은 아이돌 스타로 변신했다.

천왕성+해왕성: 태양과 거리가 멀어질수록 지구인들의 행성에 대한 관심도 멀어지는 것 아닌가. 천왕성과 해왕성을 소외된 이웃으로 설정하고 이들의 대표적 개성을 드러내는 공동 인터뷰 형식으로 접근했다. 천왕성은 자전축이 98도나 기울어져 마치 누워서 도는 것처럼 보인다. 해왕성은 시속 2100km의 바람이 항상 불기 때문에 바람의 행성으로도 불린다. 게다가 가스와 얼음 덩어리만으로 이뤄져 있어 만약 착지하더라도 바다 속처럼 가라앉는다.

명왕성: 2006년 8월 명왕성이 태양계 왕좌의 게임에서 탈락했다. 1930년 처음 발견된 이래 태양계 9번째 행성이 되었으나 이후 천문학 관측기기의 발달로 명왕성과 궤도 및 크기가 비슷한 천체가 다수 발견되었다. 그리고 명왕성의 행성 자격 논란 끝에 폐위된 것이다. 연대기 면에서 명왕성만큼 극적인 행성은 없을 것이다. 제작진은 혁명(?) 끝에 폐위된 황제 캐릭터를 주었고 시리즈 마지막 에피소드에 흥미를 더했다. 이빨 빠진 호랑이 같지만 울분의 에너지 넘치는 노왕을 연기하는 김재원의 눈부신 연기가 백미다.

출처 : ENB교육뉴스방송(http://www.enbnews.org)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