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호흡기 기능
[1]아동 호흡계의 차이 1)기도의 직경이 작은 호흡 구조 간의 간격이 짧은 2)유스타키오관이 수평적이고 짧아 박테리아 감염이 증가하고 중이염의 위험성이 증가하는 3)폐포는 3세까지 약 2000만개에서 2억개로 늘었고 폐 표면적은 5~8세까지 증가하는 4)유아는 비강 호흡만 하고 구강을 통한 호흡 곤란이 있는 5)늑간 사이가 발달하지 않고 유아는 호흡시 흉부 견축이 자주 발생하고 5~6세까지 호흡시에 복근을 사용하는(더 불규칙한 증상이 많다)신생아는 또 10초~10초 S위험이 크기 때문에 미숙아는 만삭 아이보다 흉벽이 유연하고 호흡근이 약하다[2]나이에 의한 호흡기 질환 편 1.3개월 미만:모체로부터 받은 항체 IgA의 작용에 의한 감염율이 낮은 2.3~6개월:모체로부터 받은 항체 감소에 의한 감염율 증가 3. 유아~학령 전기:바이러스 감염율 증가 4.5세 이상: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감소, β 연쇄 구균 감염 증가 호흡기 기능 장애

[1] 중이염 1. 원인 1) Streptoccus Pneumoniae, Haemophilus Influenzae, Staphylococcus Aureus 2) 간접흡연 시 증가함 3) 모유영양아가 인공영양아보다 중이염 발생빈도가 낮음(IgA) 6개월~2세 호발, 7세 이후 거의 발생하지 않음, 유스타키오관이 성인에 비해 짧고 곧게 2. 병태생리
중이염.

후두.2.급성후두개염 1) 호발연령 : 3~7세 2) 원인균 : 세균성, Haemophilus Influenza(Hib) 가장 일반적 3) 발병 : 신속한 진행, 긴급한 응급조치 요망 4) 증상 : 4D → 연하곤란(Disphagia), 호흡곤란(Distressed Inspiratory Efforts), 말하기 곤란(Disporia), 군침(Drooling)후두개염후두개염유아 하임리히법아동 하임리히법아동 하임리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