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나운서 박지현K BS

안녕하세요! KBS 신입 아나운서 박지현입니다

거울을 보며 수백 번이나 되뇌었던 그 한마디. 이제는 많은 분들 앞에서 ‘KBS 아나운서’로 제 자신을 소개할 수 있다는 생각에 정말 행복합니다. 졸업할 때가 다가오자 주위 사람들로부터 이제 뭐 할 거냐는 질문을 많이 받았어요. 2년이라는 시간 동안 그냥 아나운서 지망생이라고 했던 게 엊그제 같은데 부족한 제가 아나운서라니… 합격 발표 후 이틀 정도의 시간이 지났지만 합격의 기쁨보다는 앞으로 수십 년을 아나운서로서 살아야 하는 행복한 책임감에 어깨가 무거워집니다.

2005년 처음 아나운서 준비를 시작하면서 느끼고 경험했던 것들을 최대한 솔직하게 이야기하겠습니다. 아나운서를 꿈꾸시는 많은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합격자는 처음부터 특별했다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시죠? 네, 어떤 사람은 처음부터 아나운서가 될 수 있는 재능을 더 많이 가지고 있는 분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끊임없는 노력과 열정은 꿈을 이루는 가장 좋은 친구입니다. 일단 자기 자신을 냉철하게 판단하고 주위 사람들의 의견에도 귀를 기울이세요. 내가 아나운서 시험에 더 유리한지, 리포터나 기상캐스터 시험 아니면 쇼핑 호스트에게 더 유리한지, 나의 장단점을 먼저 파악해야 합니다. 처음에는 어렵게 느껴지지만 몇 달 동안 수업을 듣고 선생님과 동료들의 평가를 들어보면 금방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정확하고 확고한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 후에는 카메라 테스트와 필기 시험, 심층 면접에 대비해 철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필기시험>

사실 처음 시작했을 때는 필기시험이 제일 망연했어요. KBS는 한국어능력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내야 했고 다른 방송사 시험은 최근 기출문제를 찾기도 어려울 뿐 아니라 경험 없이는 설명할 수 없는 시험이기 때문이죠. 처음 시작했을 때는 아무런 준비 없이 갑자기 1차 시험에 합격해 필기시험 때 당황했던 기억이 생생합니다 좋은 멤버를 만나서 꾸준히 필기스터디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되고 단기간에는 언론고시학원에 다니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소견으로는객관식상식시험보다글쓰기가더어렵고중요한데평소에신문을정독하는습관과색깔이다른두종류의신문을읽는것이좋습니다. 주간지도 가끔 보고 최신 영화나 베스트셀러에도 관심을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여러 신문의 사설과 칼럼을 읽으면서 처음에는 같이 쓰거나 하면 도움이 되죠.

<카메라 테스트>

제일중요한것은밝고호감가는인상과안정된목소리가아닌가싶습니다. 아나운서 시험은 미인대회가 아닐 정도로 예쁜 외모보다는 자신의 개성을 발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누구나 단점은 있기 때문에 단점에 신경 쓰기보다 장점을 극대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헤어스타일과 메이크업의 미세한 변화로도 내 이미지를 바꿀 수 있습니다. 유명한 미용실도 좋지만 무엇보다 자신과 잘 맞는 디자이너를 만나 충분히 상담하고 바꿔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심층면접>

면접은 직접 경험한 것이 가장 도움이 됩니다. 시험을 치르면서 자신이 부족한 것이 무엇인지 절실히 깨닫게 됩니다. 만약면접경험이부족하다면자기자신을냉철하게분석해서장단점을파악하는일이반드시필요합니다 ‘내가 잘하는 것’, ‘자신이 없는 것’ 등에 대해서 제대로 파악하는 것이 좋습니다. 어떤 면접이든 ‘나’에 대한 질문인 만큼 나 자신보다 나를 더 잘 아는 면접관은 없겠죠 제 자신을 보여줄 수 있는 기회인 만큼 면접은 입사시험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스터디>

아나운서 준비를 하면 실기 스터디를 많이 하게 되는데 어려운 시기에 함께 할 수 있다는 동료가 있다는 것이 정신적으로 도움이 됩니다. 학원수업을 계속 받기 힘들면 스터디가 뉴스리딩과 내레이션 등 실기를 연습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다만, 멤버들은 프로가 아닌 아마추어이기 때문에 잘못된 습관이 자리 잡을 수도 있기 때문에 가끔 학원에 오셔서 점검 받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나에게 이런 큰 선물을 받을 자격이 있다니 믿을 수 없습니다. 아마 이 큰 선물은 나만의 것이 아니라 많은 사람과 함께 나누라는 의미인 것 같아 어깨가 무거워집니다.

때로는 이 길이 내가 가야 할 길인가 하는 의문이 들기도 하겠지요. 하지만 잊지 마세요. 고통과 슬픔은 행복의 다른 이름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학생을 아끼고, 항상 어머니처럼 친구처럼 편하게 대해주시는 이선미 선생님께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